안녕하세요~
치과에 자주 내원하시는 증상 중 하나에 대해서 오늘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"씹을 때 증상이 있어요.", "씹을 때 찌릿한 증상이 있어요.", "씹을 때 깜짝 놀라게 아픈 적이 있어요."
보통은 씹을때 이러한 증상이 생깁니다.
이러한 증상들은 치아에 금이 가서 생기는 증상입니다.
환자분들께서는 이렇게 금이 간 것을 붙이는 방법은 없느냐고 종종 물어보시는데
금이 간것을 붙이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.
금이 간 단계별로 치료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첫 번째
증상이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는 정도로 긴가민다 할 때,
치과에 방문 시 치아끼리 닿을 때 힘을 좀 덜 받도록 교합조정을 시행하는 겁니다.
그리고 일부러 테스트를 해보시면 안 됩니다. 그런 찌릿한 증상을 느낄 때마다 금이 갈 수 있습니다.
가급적 딱딱하고 질긴 것을 피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.
2. 두 번째
치과에 방문 시 증상이 나타난 경우, 교합조정을 해도 증상이 계속 있는 경우,
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금이 갔을 경우에는 붙이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금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
치아를 다듬어 임시치아로 사용해 보다가 괜찮으면 최종보철물을 하는 것입니다.
3. 세 번째
두 번째의 방법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으며, 증상이 지속 시 신경치료를 하여야 할 수 있습니다.
신경치료를 통해 치아의 금이 어디까지 가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기도 합니다.
(치과 보존과에 현미경이 있는 경우, 확인 가능함)
치아의 신경을 제거하여 증상을 없애고 치아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신경치료는 치아를 살리기 위한 최후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.
신경치료란?
안녕하세요^^지난번 충치치료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.그때 신경치료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못해 이번에 좀 더 자세히 설명들 드리기 위해 컴퓨터를 켰습니다.충치가 깊어 신경이 견디질 못
anne9303.tistory.com
3. 네 번째
신경치료를 하는 중에 금이 확인이 되고 혹시 뿌리까지 금이 갔다면 치아를 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이때는 환자분께서 결정을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.
일단, 신경치료를 마무리하고 치아를 쓸 때까지 사용해 볼 것 인지
아니면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를 뽑을 것인지에 대해 결정을 해주셔야 합니다.
그 결정에 따라 치료 계획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이렇게 치아에 금이 갔을 때 단계별로 치료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.
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
제가 설명드릴 수 있는 선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임플란트의 구조 (0) | 2025.03.28 |
---|---|
임플란트의 종류 (0) | 2025.03.27 |
턱에서 소리나는 경우 (0) | 2025.03.25 |
어떤 치과를 가야 할까? (0) | 2025.03.24 |
치과 엑스레이에 대해 (0) | 2025.03.18 |